본문 바로가기

go언어 블록체인

노마드 코인 12-26 리뷰

이번 강의에서는 블록체인을 받고 DB에 저장해주는 과정을 배워봅니다!

 

1. Replace함수를 만드는데

이 함수는 받은 []*Block 에서 Block[0] 즉 최신 블록의 Height, Difference, Hash값으로 업데이트하고

PersistBlockchain()함수로 DB에 저장하는 기능

 

2. EmptyBlocks() 함수를 만드는데

기존에 있던 blocks DB를 삭제하고 새로 DB를 만들어 놓는 기능

새로 받은 New Blocks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3. 받은 newBlocks를 저장

기존에 있던 receiver func 인 ( persist() 함수 혹은 persisBlock() 함수 )를 일반 함수로 바꾼 후(이유는 굳이 리시버 함수일 필요는 없어서?) 이 함수를  사용하여

for 문으로 newBlocks에서 block 하나씩 DB에 저장

 

실행해보니

포트 3000 - 10개 블록

포트 4000 - 1개 블록 에서

서버 업데이트를 하고 난 뒤

포트 3000 - 10개 블록

포트 4000 - 10개 블록 이면서 같은 블록으로 서로 동기화가 잘 되었어 굳!

 

다음 강의에서는 새로운 블록을 채굴했을 때 연결된 서버에 알려주는 기능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네요 그럼

 

끝!

 

 

'go언어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마드코인 12-28 리뷰  (0) 2021.08.19
노마드 코인 12-27 리뷰  (0) 2021.08.18
노마드 코인 12-25 리뷰  (0) 2021.08.18
노마드 코인 12-24 리뷰  (0) 2021.08.18
노마드 코인 12-23  (0) 2021.08.18